[진품명품]’청자상감연갈대문주병’은 무슨 뜻?

2022년 4월 10일 TV쇼 진짜 명품 1318회 ‘TV쇼 진짜 명품’은 KBS1에서 1995부터 방송되고 있는 시사교양 프로그램입니다. 의뢰인들이 감정을 요청한 물건을 소개하고 전문가들이 설명해주는 방식입니다. 햇수로 거의 30년 가까이 지난 방송이지만 이렇게 오랜 시간 우리 문화를 설명하기 위해 노력한 프로그램은 거의 없습니다. 문화는 한 나라의 뿌리를 알리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어떤 사람은 문화는 국가의 얼굴이자 자존심이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국민들에게 문화를 교육해 주는 진짜 명품을 보고 이를 더욱 알리기 위해 해당 회차 기록을 남기고자 합니다.

쇼 감정단 : 김민아(방송인), 이홍렬(개그맨), 요요미(가수) 전문 감정위원 : 진동만(그림감정위원), 김준영(도자기감정위원), 김경수(민속품감정위원)

쇼 감정단 : 김민아(방송인), 이홍렬(개그맨), 요요미(가수) 전문 감정위원 : 진동만(그림감정위원), 김준영(도자기감정위원), 김경수(민속품감정위원)

4월 10일 진짜 명품 의뢰품. 왼쪽부터▲수군조련도▲고려청자 용갈대문주병▲경상

최초 의뢰품은 8폭 병풍이다. 지금까지 본 병풍과 달리 그림이 나누어져 있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그림이 연결된 병품을 ‘일지 병풍’이라고 한다. 꽤 큰 크기이다.

8폭 병풍에는 배가 가득 그려져 있다. 그림의 배를 자세히 보면 길장, 가운데 가운데, 서쪽 등 한자가 적힌 깃발을 달고 있다. 이 그림은 조선 삼도 수군의 대규모 합동 훈련을 담은 기록화이다. 그림은 임진왜란(1592~1598) 당시 1592년 한산대첩 이후인 1593년부터 영해에서 행한 훈련을 담았다. 의뢰품은 수군조련도라고 부른다. 조선의 대표 전함인 거북선과 판옥선이 포진해 있는 모습으로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특히 임진왜란 때 일본을 격파한 진법까지 보여준다.

(왼쪽부터) 1.현) 충남 서산과 전북 군산=구글 지도 2.삼도수군통제영이 위치한 통영=구글 지도 3.삼도수군통제영 전경=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삼도수군은 호남·경상·충청 수군을 말한다. 당시 충청도에는 서산과 군산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내륙이라는 이미지와는 달리 충청도의 수군이 있었다. 삼도수군은 통영의 ‘삼도수군통제영’을 중심으로 서해안 방어 체제를 구축하였다. 삼도수군통제영은 수군의 총지휘를 담당하는 기관이자 기관을 담당하는 총사령관으로 ‘삼도수군통제사’를 두었는데, 초대 삼도수군통제사가 바로 충무공 이순신이다.

왼쪽) 미시마 주사도독사령선/오른쪽) 서해안 방어선을 구축하는 오영도에서 알 수 있듯이 대규모 합동수군훈련인데 훈련 당시 인원만 3만여 명, 군함 500여 척이 동원된 훈련이었다고 한다. 그림 중앙에 다른 배와 비교되는 큰 군함이 있다. 이 배는 삼도수군통제사가 타고 있는 ‘삼도주 사도독사령선’이다. 삼도수군통제사는 「경상우수영」을 통제하는 「경상우수영」을 겸직하여 중앙 최대의 배에 배치되었다. 경상 우수영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 전라 좌수영, 하전라 우수영, 우측 상단에 경상 좌수영, 하충청 수영의 오영이 배치되었다. 이 밖의 수군조련도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인천시립박물관’과 ‘국립해양박물관’ 링크를 클릭하면 잘 나타난다.

Home>인천시립박물관>유물>주요유물소개>수군조련도, 견고한 해상방어를 꿈꾸다|인천시립박물관 명칭통제영수군조련도(통제영수군조련도) 국적 한국시대 조선(19세기 말~20세기 초) 재질 비단에 채색 크기 1·10 폭: 가로 37.5cm×세로 160cm2~9 폭: 가로 40cm×세로 160cm 소장 위치의 고미술실 수군조련도는 조선시대 시행된 충청남도 군사훈련 장면입니다. 현재의 통영인 통제영에서 시행되어 ‘통제영수군 조련도’로 불리기도 하며 해상전투함 진열을 그렸다 하여 ‘해진도’, 이순신 장군 진법을 그렸다 하여 ‘이… www.incheon.go.kr

Home>인천시립박물관>유물>주요유물소개>수군조련도, 견고한 해상방어를 꿈꾸다|인천시립박물관 명칭통제영수군조련도(통제영수군조련도) 국적 한국시대 조선(19세기 말~20세기 초) 재질 비단에 채색 크기 1·10 폭: 가로 37.5cm×세로 160cm2~9 폭: 가로 40cm×세로 160cm 소장 위치의 고미술실 수군조련도는 조선시대 시행된 충청남도 군사훈련 장면입니다. 현재의 통영인 통제영에서 시행되어 ‘통제영수군 조련도’로 불리기도 하며 해상전투함 진열을 그렸다 하여 ‘해진도’, 이순신 장군 진법을 그렸다 하여 ‘이… www.incheon.go.kr

국립해양박물관 웹진 vol.10 > 이야기 > 해양전시이야기 해양전시이야기 MARINE EXHIBITION STORY 정유재란승전 7주갑(420년) 기념수군 조련도무늬, 올해는 12지 간지로 60년 만에 찾아오는 정유년이다. 420년 전 정유년에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정유재란(1597~1598)이 일어난 해이기도 하다. 이에 우리 박물관에서는 정유재란승전 7주갑(420년)을 기념하여 소장자료인 수군조련도를 1층 다목적홀에서 전시하고 있다. 다목적홀(1F) 전시 모습 정유재란은 임진왜란(1592~1598) 중 제2차 침략전쟁으로 한자해설 그대로 정유년에 다시… www.knmm.or.kr

이 그림에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유물까지 묘사되어 있다. 희소성이 높은 수군조련도는 궁중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감정가 1억5000만원.

이 그림에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유물까지 묘사되어 있다. 희소성이 높은 수군조련도는 궁중화원이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감정가 1억5000만원.

두 번째 의뢰품은 고려청자다. 정확히 말하면 청자상감연갈대문주병이다. 지난번 리뷰에서 도자기 이름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봤어. 도자기는 명칭을 보면 청자는 색, 상감은 기법이다. 용갈대문은 모양이고 주병은 병 모양을 뜻한다. 고려청자의 문양을 나타내는 기법은 상당히 여러 종류가 있는데, 청자에 색을 쓰지 않고 무늬를 나타내는 음각·양각·투각 기법이 있으며 안료를 사용한 철화·퇴화·동화 기법, 고려청자의 특징이 되는 상감 기법이 있다. 위 청자를 풀어내면 ‘상감기법을 이용한 용갈대문 모양의 청색 술병’이 되는 셈이다.

감정가는 7000만원이다. 고려청자 특유의 우아한 비색과 수준 높은 문양 장식이 돋보이는 의뢰품 청자 주홍무늬는 고려 상감청자 전성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특히 찾아보기 힘든 문양이 흑백 상감 기법으로 새겨져 있다. 좀 더 잘 타거나 수리한 곳이 없다면 2억~3억까지 하는 귀중한 질병이라는 평가다.

세 번째 의뢰품은 고려시대 사찰에서 불경을 두고 사용된 데서 유래한 ‘경상’이다. 고려시대에는 사찰의 필수품으로, 조선시대에는 사대부의 필수품으로 쓰였던 경상은 아담한 크기에 화려한 무늬가 가득해 여성용으로 추정된다. 각 면에 사용자의 복을 비는 다양한 문양부터 쉽게 상상할 수 없는 용의 눈을 닮은 문양까지 새겨져 있다. 감정가는 2000만원이다.세 번째 의뢰품은 고려시대 사찰에서 불경을 두고 사용된 데서 유래한 ‘경상’이다. 고려시대에는 사찰의 필수품으로, 조선시대에는 사대부의 필수품으로 쓰였던 경상은 아담한 크기에 화려한 무늬가 가득해 여성용으로 추정된다. 각 면에 사용자의 복을 비는 다양한 문양부터 쉽게 상상할 수 없는 용의 눈을 닮은 문양까지 새겨져 있다. 감정가는 2000만원이다.[1318회] TV쇼 진짜 명품 – KBS 그림 – 수군조련도 / 도자기 – 고려청자 용갈대문주병 / 민속품 – 경상 vod.kbs.co.kr[1318회] TV쇼 진짜 명품 – KBS 그림 – 수군조련도 / 도자기 – 고려청자 용갈대문주병 / 민속품 – 경상 vod.kbs.co.kr[1318회] TV쇼 진짜 명품 – KBS 그림 – 수군조련도 / 도자기 – 고려청자 용갈대문주병 / 민속품 – 경상 vod.kbs.co.kr

error: Content is protected !!